private Long bno
라고 적은 것 처럼 bno
라는 필드를 정의하면 하나의 Column을 정의할 수 있는 것이다.
대략적인 어노테이션의 개념만 알도록 하고 일단 따라하면서 만들고 속성, 옵션이나 주의사항은 나중에 익히는 것이 좋다. 천재가 아니기에 너무 많은 정보를 한 번에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Boaed.builder().{여러가지 필드의 초기값 선언}.build()
형태로 객체를 만들 수 있다.Board
객체의 title
값을 얻고 싶다면 gettitle()
메서드를 정의해서 해당 객체의 title
값을 얻어오게 되는데 해당 메서드를 굳이 작성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것이다.변수는 보통 직접 접근 및 변경이 안되도록 private
선언자를 통해 지정한다. title
이라는 변수를 조회하기 위해서 gettitle()
이라는 메서드를 선언하고 title
을 리턴하도록 해준다. 이 메서드를 getter
라고 부른다.
private String title
public String getTitle() { return title }
toString
메서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Id
이다. @GeneratedValue
는 이 PK가 자동으로 1씩 증가하는 형태로 생성될지 등을 결정해주는 어노테이션이다.ManyToOne
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Writer입장에서 Board는 여러 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Writer : Board = 1: N
관계가 되기 때문이다.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
를 해야 쓸모가 있는데 이것을 어떻게 할 것인지 정의해주는 계층이라고 생각하면 된다.JPARepository
를 상속받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인 동작이 모두 가능해진다.JPARepository<대상으로 지정할 엔티티, 해당 엔티티의 PK타입>
이렇게 extends를 통해서 상속받고 나면 해당 레포지토리의 객체를 이용해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메서드 save(), findAll(), get()
등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