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ET
전송 계층
2022년 02월 24일
전송계층
전송계층(transport layer)
개요
전체 메시지의
프로세스 대 프로세스 전달에 대학 책임
을 가짐
전체 메시지가 완전하게 바른 순서로 도착하는 것을 보장
네트워크 층은 개별적인 패킷의 종단-대-종단 (end-to-end) 전송을 담당
전송계층의 기능
기능
포트 주소 지정 (port addressing) : 포트 주소를 포함
네트워크 계층은 각 패킷을 정확한 컴퓨터에, 전송계층은 해당 컴퓨터의 정확한 프로세스(프로그램)에게 전달
분할과 재 조립 (Segmentation and reassembly)
전달 가능한 세그먼트 단위로 나눔
각 세그먼트는 순서번호를 가지며 이를 통해 재 조립 또는 패킷의 손실여부 판단
연결제어(Connection control)
비 연결 및 연결지향
흐름제어 (Flow control)
오류제어 (Error control)
전송계층의 프로토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연결형 서비스로 가상 회선 방식을 제공
신뢰성을 보장하며 3-way handshaking 과정을 통해 연결
전이중(Full-Duplex), 점대점(Point to Point) 방식
UDP (User Datagram Protocol)
비연결형 서비스로 데이터그램 방식을 제공
신뢰성이 낮다
TCP보다 속도가 빠르다
SCTP (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SCTP는 UDP와 TCP의 특성을 결합
UDP나 TCP와 유사하며 다중 연결을 지원한다.
이전 글
네트워크 계층
다음 글
실무에서 약간은 도움 될 기초지식 1 - 컴퓨터와...